성경의 결함: 내부 모순, 과학적 충돌, 그리고 윤리적 딜레마
기독교 신자들은 성경이 절대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주장하지만, 성경 본문 자체에 역사적 모순과 과학적 오류, 그리고 도덕적으로 충격적인 내용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우선 수백 가지에 달하는 명백한 자체 모순들이 성경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예를 들어, 예수가 부활한 후 무덤을 가장 먼저 찾은 마리아 막달레나 사건에서, 마가복음은 그 시각을 “해가 돋은 후”로 기록하지만 요한복음은 “아직 어두울 때”라고 기록하여 서로 모순됩니다. 한편 열왕기상과 역대기에 등장하는 동일한 성전 기둥의 높이 수치가 18규빗 vs 35규빗으로 크게 불일치한다든지, 어떤 구절에서는 “하나도 본 사람이 없다”던 하나님을 다른 구절에서는 사람이 직접 보았다고 하는 등, 완전한 전지전능의 신이 영감을 주었다기에는 앞뒤가 맞지 않는 사례들이 부지기수입니다.
과학적 사실에 비추어 보아도, 성경의 기록에는 현실과 어긋나는 오류가 많습니다. 창세기는 우주와 지구를 6일 만에 창조했다고 서술하지만, 현대 과학에 따르면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 지구는 약 45억 년에 이르며 당연히 6일이라는 기간과는 거리가 멉니다. 문자 그대로 창세기를 믿는 일부 근본주의자들은 지구의 나이가 수천 년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방대한 지질학적・물리학적 증거와 배치되는 비과학적 믿음입니다. 또한 여호수아기 10장에서 하나님이 태양을 멈추게 했다는 이야기는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할 뿐 아니라, 전 세계 어느 역사 기록에도 그와 같은 “긴 낮”이나 “긴 밤”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실제로 지구 자전이 갑자기 멈춘다면 지상의 모든 것은 관성 때문에 대기 중으로 내던져져 버릴 것이며, 이는 일어나지도 않았고 일어날 수도 없는 일입니다. 이밖에 인간의 기원을 다루는 성경 이야기 역시 과학과 충돌합니다. 인류가 처음 두 남녀(아담과 하와)에서 비롯되었다는 설화는 화석 기록과 DNA 분석 등에 의해 완전히 반박되었고, 인간은 성경 연대기에서 묘사하는 것보다 훨씬 오랜 세월에 걸쳐 진화해 왔음이 밝혀졌습니다. 성경은 또한 박쥐를 새로 분류한다거나(레위기 11장), 토끼가 되새김질을 한다거나(레위기 11장), 메뚜기 등 곤충은 다리가 넷이라고 언급하는 등 현대 과학 지식으로 보면 명백한 오류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적 오류와 역사적 모순은 성경이 완전무결한 진리의 책이 아니라, 시대 한계 속에서 인간 저자들이 자신의 인식 수준대로 쓴 책에 불과함을 보여줍니다.
성경 내용 중에는 도덕적인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는 대목들이 많습니다. 흔히 성경을 “거룩한 도덕의 근원”처럼 생각하지만, 정작 성경 속에는 오늘날 기준으로 보면 극도로 잔혹하거나 부도덕한 사례들이 버젓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에게 가나안 원주민을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진멸하라고 명령하는 장면들이 나오는데(신명기 20:16 등), 이는 현대의 관점에서는 집단 학살을 신이 정당화한 것과 다름없습니다. 또한 출애굽기 21장 등에 보면 노예제를 당연시하며, 심지어 “종이 하루나 이틀 내에 죽지만 않으면 주인은 처벌받지 않는다”(출 21:20-21)고 규정해 노예는 재산일 뿐이라는 인식을 드러냅니다. 여성에 대한 차별도 극명합니다. 신명기 22장 28-29절에 따르면 젊은 처녀가 강간을 당했을 경우 가해 남성이 그 여성과 결혼하고 여성의 아버지에게 돈을 지불하면 처벌을 면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피해자인 여성이 평생 자기 성폭행범과 결혼 생활을 해야 한다는 이 끔찍한 규정이 바로 성경의 율법입니다.
신명기 21장 10-14절에서는 전쟁터에서 예쁜 여성을 보면 포로로 데려가 아내로 삼아도 된다고 규정하며, 한 달 뒤에는 그에게 들어가서 아내로 삼으라고 합니다. 이는 전쟁 포로 여성을 성적 노예로 삼는 것을 합법화한 것인데, 성경 저자조차 “그 후에 네가 그 여자에게 들어가서 아내로 삼아라”라는 표현 바로 뒤에 “그리하여 그녀는 네 아내가 될 것이다”라고 적어 놓았습니다. 다시 말해 성경은 전쟁 강간과 강제 결혼을 하나님의 율법으로 용인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현대의 보편 윤리의식에照ら해 볼 때 명백히 부도덕하며, 심지어 성경 내부에서도 “롯은 의로운 사람”이라고 두둔하는 신약 구절(베드로후서 2:7)이 있을 만큼 도덕 판단이 왜곡되어 있습니다. 롯은 소돔에서 몰려온 자들에게 자신의 딸들을 내어주어 마음껏 욕보이라고 제안했고, 훗날 두 딸과 근친상간까지 벌인 인물이지만 성경은 그를 “의인”으로 칭송합니다. 이처럼 성경에는 우리가 보편적 양심으로 용납하기 힘든 일들이 신앙의 미담처럼 서술되거나, 오히려 윤리적 악행이 신의 명령으로 묘사된 경우도 있습니다. 성경에 분명하게 드러난 이런 비합리적・비도덕적 내용들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하나님의 완전한 계시로 볼 수 있느냐는 회의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 신학자는 “성경에 수백 가지의 모순이 존재하며 이러한 오류투성이 책을 완전하고 선한 신이 영감 주었다고 보기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합니다. 결국 성경 자체가 이렇듯 결함을 지닌 텍스트이기에, 이를 둘러싼 해석에서도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