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주교 내의 여성차별 및 여성범죄에 대하여 (분노주의)

최근 천주교에서 여성 관련 논란이 잇따르며 사회적 비판이 커지고 있다. 성직자의 부적절한 발언부터 성범죄 은폐 시도까지, 다양한 사례를 사실에 기반해 정리해본다. 각 사례별로 개요, 문제점, 사회적 반응, 그리고 교회의 대응 및 변화 여부를 살펴보자.


1. 함세웅 신부의 여성 비하 발언 논란 (2023년)

사례 개요
2023년 11월 말, 원로 성직자인 함세웅 신부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행사에서 “방울 달린 남자들이 여성 하나보다 못하다”라는 발언을 했다. 여기서 ‘방울 달린 남자’는 사제복을 입은 남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낙연 전 총리를 빗댄 것이었다. 추 전 장관의 결단력을 강조하는 의도였지만, 표현 방식이 문제가 되며 논란이 커졌다.

문제점
이 발언은 성차별적 비유로 받아들여졌으며, 특히 "여성 하나보다 못하다"라는 표현은 여성 전체를 낮춰보는 뉘앙스로 들려 여성 비하라는 비판을 받았다. 국민의힘 등 일부 정치권에서는 “전형적인 남성 우월주의적 여성 멸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함 신부는 추 전 장관을 치켜세우려 했다고 해명했지만, 성 인식이 왜곡된 경솔한 발언이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특히 종교인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는 점에서 천주교 성직자의 품격을 떨어뜨린다는 비판도 나왔다.

사회적 반응
여성계와 정치권에서는 강한 반발이 일었다.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즉각 “세계 여성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고, SNS와 언론에서도 “성직자가 여성 비하를 했다”는 비난이 확산됐다. 천주교 신자들 사이에서도 “신부님 말씀이라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후 조치 및 변화
함세웅 신부의 공식적인 사과 발표는 없었다. 다만, 논란이 커지자 천주교 내부에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서울대교구 등 관계자는 별다른 논평을 내지 않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성직자의 발언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종교인들의 성인지 감수성 제고 필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었다.


2. 천주교 ‘미투’ 사건과 2차 가해 논란 (2018년)

사례 개요
2018년 2월, 미투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한만삼 신부의 성범죄 의혹이 폭로됐다. 피해자 김민경 씨(당시 평신도 봉사자)는 2011년 남수단 선교 활동 중 해당 신부에게 지속적인 성추행과 성폭행 시도를 당했다고 밝혔다.

문제점

  • 은폐 및 미온적 대응: 한만삼 신부는 큰 처벌 없이 국내로 복귀해 사목 활동을 이어갔으며, 폭로 직후 수원교구는 그를 급히 지방으로 피신시켰다. 공개적인 징계나 수사 협조 발표 없이 사건을 축소하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 가해자 옹호 발언: 김유정 신부(당시 대전가톨릭대 총장)는 “한 신부가 7년간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취지의 글을 SNS에 올렸다. 이 발언은 피해자가 용서를 하지 않아 문제가 된 것처럼 들려 2차 가해라는 거센 비판을 받았다.

사회적 반응
언론과 여성단체는 교회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고, 신자들 사이에서도 실망감이 컸다. 정의구현사제단 등 진보 성향 성직자 모임에서도 “피해자의 아픔에 공감한다”는 성명을 냈지만, “가해 신부도 우리의 형제”라는 표현을 덧붙여 또다시 논란이 되었다.

이후 조치 및 변화

  •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가 “성폭력 사태에 책임을 통감한다”며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다.
  • 수원교구장 이용훈 주교도 사과 서한을 발표하고, 여성 인권 교육 의무화 및 사제단 쇄신을 약속했다.
  • 김유정 신부는 논란이 된 글을 삭제하고 피해자에게 사과했으며, 교구로부터 경고 조치를 받았다.
  • 다만, 가해 신부에 대한 명확한 처벌 조치는 없었고, 일정 시간이 지나 복귀했다는 이야기가 나와 “교회 내부 처벌이 여전히 관대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3. 천주교 대전교구 성추행 사건과 솜방망이 징계 논란 (2018년)

사례 개요
2018년 2월, 대전교구 소속 신부가 2001년 고등학생이던 여성 신자를 성폭행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피해 여성은 17년 만에 미투 운동의 흐름 속에서 용기를 내어 폭로했다.

문제점
교구는 자체 조사 후 해당 신부의 성추행 시도를 인정하고 정직(停職) 처분을 내렸다. 하지만 이는 일정 기간 사목 활동만 금지하는 조치로, 솜방망이 징계라는 비판이 나왔다.

사회적 반응
천주교 신자들과 교육계, 여성단체에서는 “학생들을 믿고 맡겨도 되나”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해당 신부가 학교 법인 이사 등을 맡았던 점이 알려지며 충격을 줬다.

이후 조치 및 변화

  • 교회법상 최대 처벌인 성직 박탈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으나, 실제로 적용되지는 않았다.
  • “사제의 범죄도 일반 범죄처럼 처벌하라”는 청원과 함께 “교회가 제 식구 감싸기를 멈춰야 한다”는 비판이 확산됐다.

4. 기타 여성 차별 관련 논란

이 외에도 천주교 내 여성 문제와 관련한 논란이 종종 공론화되었다.

  • 최강욱 ‘암컷’ 발언(2022년): 정치권의 여성 비하 발언이 천주교 진보 성향 인사들과 연결되며 논란이 확산됐다.
  • 박원순 전 시장 관련 종교계 추모 논란(2020년): 일부 종교계 인사의 추모가 성추행 피해자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 워마드 성체 훼손 사건(2018년): 일부 극단적 여성주의 커뮤니티에서 천주교를 비하하는 행위가 발생하며 사회적 논쟁이 일었다.

5. 변화와 과제

천주교는 미투 운동 이후 빠르게 사과하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했지만, 성직자들의 인식 부족과 교회의 구조적 한계가 여전히 남아 있다. 성범죄 가해 성직자에 대한 처벌이 미온적이라는 점도 지속적인 비판 대상이다.

천주교 내 여성의 역할이 여전히 제한적인 만큼, 앞으로 성 평등 인식을 높이고 보다 적극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