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이 세상을 떠났다. 국내 대부분의 언론은 그의 죽음을 두고 일제히 '선종(善終)'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얼핏 보면 경건한 존중의 표현처럼 들린다. 그러나 언론이 아무 비판 없이 이 용어를 받아쓰는 것은 과연 적절한가?
'선종'이라는 말은 가톨릭 신앙의 교리를 전제로 한 용어다. 단순히 "편안히 숨을 거뒀다"는 뜻이 아니다. 가톨릭에서 선종은 임종에 앞서 고해성사와 병자성사를 받고 영혼에 어떠한 큰 죄(대죄)도 없는 상태로 삶을 마쳤음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마지막 순간에 모든 종교적 의무를 마치고 하느님 앞에 떳떳하게 떠났다는 확신이 담긴 표현이다.
세속 언론이 이러한 종교 내부 용어를 설명 없이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언론이 사실을 전하는 척하면서 특정 종교의 교리적 판단을 슬그머니 끼워 넣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선종'이라고 적는 순간, 매체는 가톨릭 교회의 신앙적 해석을 마치 모두가 동의하는 객관적 사실인 양 포장하여 전달하게 된다. 이것은 언어를 통해 특정 종교의 특권을 재생산하는 행위이며, 언론으로서 지켜야 할 보편성과 중립성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다.
교황의 죽음이라 해서 죽음의 본질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죽음 앞에서는 교황이든 평범한 사람이든 모두 똑같이 인간일 뿐이다. 그럼에도 언론이 그의 죽음을 두고 '선종' 같은 용어로 미화하는 것은 죽음의 현실을 종교적 미사여구로 가리는 일이다. 아무리 존경받는 인물이라도 죽음은 죽음이다. 이를 특별한 성스러운 사건처럼 포장하는 건 진실을 은폐하는 것이자 권위에 대한 무비판적 추종에 다름 아니다.
언론의 이러한 태도는 언어적 위선이다. 겉으로는 객관적 보도를 표방하면서도, 막상 강한 종교 권위 앞에서는 그들의 언어를 빌려 쓰며 무릎을 꿇는다. '선종'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교회 공동체 내부에서야 통용될 수 있는 말을 공적인 뉴스 기사에 그대로 사용하는 순간, 언론은 스스로 가톨릭 교회의 홍보지가 되길 자처하는 꼴이 된다.
물론 언론이 교황에 대한 존경과 애도의 마음을 담고 싶었던 의도는 짐작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공적 표현까지 신앙에 기대서는 안 된다. 존경하는 인물의 죽음을 전할 때 쓸 수 있는 완곡하고 품위 있는 단어는 '서거'나 '별세' 등 얼마든지 있다. 굳이 "하느님 나라로 귀환했다"는 식의 종교적 확언을 빌리지 않아도 애도의 뜻을 전하는 데 아무 지장이 없다. 세속 국가의 언론이라면 공적인 언어에서는 엄격히 세속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종교를 존중하되, 언어의 영역에서는 종교적 특혜를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교황은 결국 한 인간으로서 생을 마감했다. 언론은 그 사실을 담담하게 전하면 될 일이다. 굳이 신의 축복을 받은 양 미화할 필요도, 교회 권위에 기대어 특별 대접할 이유도 없다.
언론은 진실을 전하는 기관이지, 종교 권위에 맹종하는 전령이 아니다. '선종'이라는 말 한마디에 스며든 권력과 신앙의 냄새를 비판 없이 받아쓰는 이러한 행태는 이제 넘어설 때가 되었다. 언론이 제 역할을 다하려면, 그 누구의 죽음 앞에서도 오직 사실과 세속적 언어로 말해야 한다. 그것이 독자와 국민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요, 언론 스스로의 양심이다.
'해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뉴스]전 세계 가톨릭 교회 아동 성범죄와 은폐의 실상 (0) | 2025.05.09 |
---|---|
[해외뉴스]콘클라베 밀실 권력, 민주주의 시대의 역설 (0) | 2025.05.04 |
[해외뉴스]요한 바오로 2세 논란으로 드러난 가톨릭 교회의 정치 본색 (0) | 2025.04.27 |
[해외뉴스]성직자 성추문 반복, 가톨릭은 쇄신할 수 있을까? (0) | 2025.04.26 |
[해외뉴스]베일에 가려진 마더 테레사: 진실과 거짓 사이 (1) | 2025.04.18 |